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BO 플레이오프/2005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KBO 플레이오프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KBO 플레이오프 목록
[ 펼치기 · 접기 ]

플레이오프 미시행 (1982~1985)[1]198619871988198919901991
1992199319941995199619971998199920002001
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20102011
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
202220232024
[1] KBO 플레이오프는 1985년에 조건부로 도입되었다(전후기 종합 승률 1위 팀은 한국시리즈에 직행하고, 전기리그 우승 팀과 후기리그 우승 팀이 플레이오프에 출전). 그러나 삼성 라이온즈가 1985년 전후기 통합우승을 차지하며 실질적으로는 1986년에 시작되었다.






1. 개요
2. 일정표
3. 경기 내용
3.1. 1차전
3.1.1. 스코어보드
3.1.2. 상세
3.2. 2차전
3.2.1. 스코어보드
3.2.2. 상세
3.3. 3차전
3.3.1. 스코어보드
3.3.2. 상세
4. 결과


1. 개요[편집]


2005 삼성 파일:삼성파브로고1.png 프로야구 플레이오프
파일:한화 이글스 화이트 심볼(1994~2005).svg파일:두산 베어스 심볼(1999~2009).svg
한화 이글스두산 베어스

2위 두산과 준플레이오프를 통과한 한화의 맞대결로 이루어졌다. 2001년 준PO에 이어 4년 만의 맞대결.

2. 일정표[편집]


2005 프로야구 플레이오프
한화 이글스 VS 두산 베어스
경기경기 시간경기장AWAY결과HOME방송사
1차전10월 8일 14:00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한화 이글스04두산 베어스파일:SBS 로고.svg
2차전10월 9일 14:00한화 이글스16두산 베어스파일:MBC 로고(2005-2011).svg[1]
3차전10월 10일 18:00한화 이글스01두산 베어스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3. 경기 내용[편집]



3.1. 1차전[편집]



3.1.1. 스코어보드[편집]


플레이오프 1차전, 10월 8일 토요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30,500명 (매진)
선발123456789RHEB
한화김해님0000000000---
두산리오스12001000-4---
중계방송사: 파일:SBS 로고.svg | 캐스터: 배기완 | 해설: 박노준
▲ MVP : -
▲ 승리투수 : 다니엘 리오스(두산)
▲ 패전투수 : 김해님(한화)
▲ 홈런: 김동주(5회 1점)

3.1.2. 상세[편집]


올 시즌을 KIA에서 불운과 함께 시작한 다니엘 리오스는 시즌 중반 두산의 포스트시즌 진출이 유력해지면서 전병두를 내주고 데려왔다. 두산에서 후반기 에이스에 등극하면서 예상대로 1차전 선발로 등판하였느나, 한화는 준플레이오프에서 3인선발 체재로 운영하면서 1차전, 4차전 선발투수에 문동환을 2차전, 5차전 선발투수에 송진우를, 3차전 선발투수에 최영필을 등판시켰고 3차전 선발 최영필마저 5차전에 구원등판(...)하면서 플레이오프 1차전에 나설 마땅한 선발투수가 없어 김해님을 등판시키는 상태에 이른다. 단기전의 마술사다운 운영이다.

1회말 두산의 선두타자 장원진의 볼넷과 임재철의 희생번트에 이은 3번타자 문희성의 중전적시타로 두산이 선취득점을 올린다. 반격에 나선 한화도 2회초에 1사 1루, 3루에 찬스를 맞이하나 신경현의 루킹삼진과 한상훈의 1루땅볼로 득점없이 이닝종료... 2회말 두산은 선두타자 안경현의 중전안타와 김창희의 희생번트 손시헌의 헤드샷(...)으로 1사 1,2루에서 전상렬의 중전안타로 1득점 장원진의 좌익수 플라이 이후 임재철의 중전적시타로 김해님을 강판시킨다.

이후 5회말 김동주의 솔로홈런으로 4:0이 되었고 이후 득점없이 경기가 종료되었다.
다니엘 리오스가 8이닝 무실점, 이재영이 2/3이닝 무실점, 정재훈이 1/3이닝 무실점으로 영봉승을 완성했다.

3.2. 2차전[편집]



3.2.1. 스코어보드[편집]


플레이오프 2차전, 10월 9일 일요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30,500명 (매진)
선발123456789RHEB
한화문동환0000010001---
두산랜들00420000-6---
중계방송사: 파일:MBC 로고(2005-2011).svg[2] | 캐스터: 송인득 | 해설: 허구연
▲ MVP : -
▲ 승리투수 : 맷 랜들(두산)
▲ 패전투수 : 문동환(한화)
▲ 홈런: 안경현(5회 2점)

3.2.2. 상세[편집]



3.3. 3차전[편집]



3.3.1. 스코어보드[편집]


플레이오프 3차전, 10월 10일 월요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24,655명
선발123456789RHEB
한화최영필000000000073-
두산김명제00001000-140-
중계방송사: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 캐스터: 김현태 | 해설: 하일성
▲ MVP : -
▲ 승리투수 : 김명제(두산)[3]
▲ 패전투수 : 최영필(한화)
▲ 세이브 : 정재훈(두산)

3.3.2. 상세[편집]


실책 개수에서 보듯 수비에서 승부가 갈렸다. 한화는 이때나 지금이나 수비불안을 노출하며 두산에 한국시리즈행 티켓을 허망하게 내주고 말았다.

4. 결과[편집]


▲ 플레이오프 MVP : 전상렬

두산이 3승 무패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4.1. 두산 베어스[편집]


두산 입장에서는 기적적인 플레이오프 직행을 이루어냈기에 그 기세를 타고 한국시리즈 진출에 성공했다. 게다가 리오스와 랜들을 잇는 3선발 박명환의 부상으로 인한 공백에서 이루어낸 성과라 더더욱 값지다.

4.2. 한화 이글스[편집]


준플레이오프 내내 강력한 타선을 자랑했던 한화는 그 기세는 어디로 가고 고작 1점밖에 못 내면서 아쉬운 퇴장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18:03:34에 나무위키 KBO 플레이오프/2005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0년 한국시리즈 5차전 이후 5년 만의 포스트시즌 중계.[2] 2000년 한국시리즈 5차전 이후 5년 만의 포스트시즌 중계.[3] 여담으로 이날 승리는 포스트시즌 최연소 승리투수 기록이다. 18세 9개월 5일.